10월, 2013의 게시물 표시

갈매기

생명력 있는 날갯짓을 위하여 극단 MIR [갈매기] 체홉의 희곡을 공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갈매기]는 더욱 그렇다. 희곡의 세부적인 설정을 말하기 전에 일단 그 텍스트의 양이 방대하다. 광활한 희곡의 공간을 한정된 공간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함축적인 무대와 효율적인 무대 전환이 요구되며, 긴 시간 진행에 따른 의상과 대소도구의 준비는 만만한 일이 아닐 것이다. 등장인물 중 어느 하나가 욕망의 나침반을 따라 행진을 게을리 하지 않기에 인물의 치밀한 분석과 연습 과정에서 배우와의 진득한 교감이 이루어져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긴 연습시간이 보장되어야 하며 어느 정도의 제작여건도 수반되어야 한다. 국내에서 공연된 [갈매기]중 관객과 평단에 회자 되었던 작품들이 제작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았던 국립 단체의 공연이거나 희곡의 정서를 삶으로 받아들인 유럽 극단의 초청공연이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렇게 만만치 않은 체홉의 [갈매기]는 인천에서 어떻게 날갯짓하고 있는가? 극단 MIR의 [갈매기]는 어떤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체홉의 희곡에서 무엇을 움켜쥐고 있는가? 좀 더 도전적인 질문을 던진다면 희곡 [갈매기]를 읽는 것과 공연 [갈매기]를 보는 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고 싶고, 받고 싶은 마음을 통틀어 사랑이라고 한다면 [갈매기]의 인물들은 모두 사랑에 빠져있다. 하지만 그 사랑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농담을 건네고, 하소연을 하고, 고백을 하지만 모든 노력들은 허사로 끝나버린다. [갈매기]에서의 주된 사건은 이런 사랑의 어긋남이다. 사건을 통해서 이야기의 지도가 그려진다면 [갈매기]의 인물들은 자신이 원하는 길로 들어서지 못하고 지도의 이정표를 따라 절망과 폐허로 향한다. 사랑하면 사랑할수록 추락하는 이 가혹한 서사가 [갈매기]의 서사이다.  연출은 파멸의 길에 빠진 니나와 꼬스챠를 제외한 그 밖의 인물들을 박제된 갈매기에 빗댄다. 사랑 앞에서 머뭇거려 마지막 추락을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