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13의 게시물 표시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

유목민의 에너지를 무대에 담다,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_신승렬 1.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를 구상하게 된 계기는?  무대 미술 작업을 하면서 힘과 생명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봤는데 그것이 유목민적 사고였다. 성경을 보면 가인의 자식들은 정착해 살다가 멸망하지만, 셋의 자식들은 양을 치고 별을 따라 유목하면서 번성한다. 유목민은 역사에서 가장 오랜 통치를 하고, 가장 넓은 땅을 소유했던 민족이다. 유목민의 특징은 이동한다는 것이다. 무대 미술로써 가장 생명력 있는 에너지를 갖는 것이 유목의 특징을 갖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2.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를 구성하고 있는 물품은 무엇인가? 큐빅(정육면체 상자) 13개, 스툴(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의자) 10개, 책상 6개, 창문 1개, 창문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레 1개, 문 1개, 문과 수레를 세울 수 있는 두 개의 평판으로 구성되었다. 3. 물품을 구성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것은 스탠더드(기준, 규범)이다. 의자의 높이나 책상의 높이는 가장 편한, 규범이 될 만한 규격이 있다. 이런 스탠더드는 유목민적 삶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왜냐하면 몽골의 전통가옥 게르나 인디언의 거주용 텐트 티피처럼 이동하면서 생활하기 가장 적당한, 기준이 될 만한 형태와 크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의 물품들은 연극을 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식을 하지 않고 특이한 모양을 갖지 않은 기본적인 구성인 것이다. 이런 구성은 무대를 시각적으로 도드라지게 하기 보다는 연극의 창작과정의 중요한 요소인 배우, 공간, 동선 등 다른 것들을 더 잘 보일 수 있게 해주고 연극적 상상력을 자극한다. 그리고 이런 물품들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