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


유목민의 에너지를 무대에 담다,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_신승렬


1.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를 구상하게 된 계기는? 
무대 미술 작업을 하면서 힘과 생명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봤는데 그것이 유목민적 사고였다. 성경을 보면 가인의 자식들은 정착해 살다가 멸망하지만, 셋의 자식들은 양을 치고 별을 따라 유목하면서 번성한다. 유목민은 역사에서 가장 오랜 통치를 하고, 가장 넓은 땅을 소유했던 민족이다. 유목민의 특징은 이동한다는 것이다. 무대 미술로써 가장 생명력 있는 에너지를 갖는 것이 유목의 특징을 갖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2.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를 구성하고 있는 물품은 무엇인가?
큐빅(정육면체 상자) 13개, 스툴(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의자) 10개, 책상 6개, 창문 1개, 창문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레 1개, 문 1개, 문과 수레를 세울 수 있는 두 개의 평판으로 구성되었다.

3. 물품을 구성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것은 스탠더드(기준, 규범)이다. 의자의 높이나 책상의 높이는 가장 편한, 규범이 될 만한 규격이 있다. 이런 스탠더드는 유목민적 삶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왜냐하면 몽골의 전통가옥 게르나 인디언의 거주용 텐트 티피처럼 이동하면서 생활하기 가장 적당한, 기준이 될 만한 형태와 크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의 물품들은 연극을 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식을 하지 않고 특이한 모양을 갖지 않은 기본적인 구성인 것이다. 이런 구성은 무대를 시각적으로 도드라지게 하기 보다는 연극의 창작과정의 중요한 요소인 배우, 공간, 동선 등 다른 것들을 더 잘 보일 수 있게 해주고 연극적 상상력을 자극한다. 그리고 이런 물품들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해서 활용될 수 있다. 그래서 어디든지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4. 얼마 전에 진행된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 쇼케이스 [짜지앙미엔]에서 실제로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가 성격이 다른 세 편의 공연의 무대로 사용되었는데 어땠나?
우선 가장 좋았던 점은 창작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었다. 물품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공간을 보고,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조율하는 것이 좋았다. 다른 공연 때보다 좀 더 작품의 창작 과정에 밀착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연의 시작과 끝에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를 설치하고 철거를 했던 것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무대를 설치하고 철거하는 그 형식 자체가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 같았다. 솔직히 찡했다. 모든 작업이 그렇겠지만, 공연을 마치면 접고 떠나야 하고, 또 다른 곳에서 펼쳐져야 한다는, 연극적인 정신을 보여줄 수 있어서 좋았다. 

5. 이후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를 활용할 구체적인 계획이 있나?
이것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공연을 하나 만들어 보고 싶고, 다른 형태의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를 구상하고 싶다. 그리고 이것을 다른 곳에 빌려주는 프로젝트를 하고 싶다. [무대를 빌려드립니다]라는 프로젝트로 다른 팀과 만나는 과정을 경험하고 싶다. 

6. 무대디자이너로서 작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관계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일 수 있고, 공간과 사람의 관계일 수 있고, 사람을 떠나 공간과 다른 것들의 관계일 수 있다. 두 번째는 태도이다. 작품을 대하고 차근차근 진행하는 태도, 그래서 익숙해지지 않는 태도이다. 성실함일 수도 있다. 세 번째는 과정이다. 이것은 믿음과 같은 것인데, 배우가 연습 과정에서 캐릭터를 완성하는 것처럼 공간을 무대미술가의 개념으로 채우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보이지 않지만 연극 작업 사이사이를 채우고 있다. 변기가 뒤샹의 생각으로 샘이 되었듯이 빈공간도 무대미술가의 개념으로 채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7. 신속배달 씨어터(The nomad theater project)외에 다른 작업 계획은?
연극 외에 다른 장르와 콜라보레이션 하고 싶다. 요즘 안무가와 작업을 하고 있는데 재밌다. 전시도 하고 싶다. 오랫동안 무대미술을 하고 싶다.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공연 작업을 하고 싶다.

인터뷰 진행 - 신재훈(본지 편집위원)

플랫폼[1/2 2014]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놀이라는 일종의 전통

삶의 완성

가질 수 없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