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14의 게시물 표시

1953년 환도열차, 종착역은 2014년 서울입니다

PREVIEW SAC CUBE 2014 연극_ 환도열차 3.14(금)-4.6(일) 자유소극장 환도열차는 거친 숨을 몰아쉬듯 허연 증기를 토해낸다.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으로 갈무리되자 부산으로 피난갔던 사람들은 다시 서울로 돌아가는 이른바 환도열차에 몸을 싣는다. 그런데 1953년 부산에서 출발한 열차는 난데없이 2014년 서울에 나타난다. 정든 사람들과 이별해야 하는 안타까움과 서울로 향하는 기대 등으로 가득 찼을 환도열차는 더 이상 사람의 숨결을 느낄 수 없다. 단 한 명, 남편을 찾아 서울을 찾은 지순만을 남겨둔 채. 그녀에게 시간을 뛰어넘은 서울은 어떤 곳일까? 2014년 서울에서 거친 숨을 몰아쉬는 건 환도열차만이 아니다. 2013년 <여기가 집이다>로 대한민국 연극대상 대상과 희곡상을 수상하고, ‘한국연극 선정 올해 공연 베스트 7’로 선정된 이야기꾼 장우재(작·연출)는 우리를 또 다른 세계로 안내한다. 그의 상상력은 시간을 훌쩍 뛰어넘은 열차를 만들어내지만 그의 시선은 차분히 서울 곳곳을 훑는다. 그 역시 몸의 실핏줄 같은 서울의 뒷골목을 오갔을 것이고 서울 귀퉁이 선술집에서 잔을 기울이며 삶의 회포를 풀었을 터인데, 그가 바라보는 서울은 낯설다. 그 낯섦은 2014년 서울을 바라보는 지순의 시선과 닿아 있다.  여기가… 서울이에요? 지순은 숨을 돌리고 차분하게 주변을 살핀다. 죽 끓이며 살 부대끼며 살던 부산, 남편과 결혼식을 올렸던 서울의 모습은 이제 더 이상 그녀가 알던 곳이 아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90세가 된 남편 한상해는 그녀가 알던 사람이 아니다. 무엇이 이렇게 변하게 한 것일까? 지순은 직접 그 실체를 확인하려고 한다. “추운 날. 아주 추운 날. 사당패 부부가 언 강을 건냈에요. 강이 얼어서 건널만 허겠다 그렇게 생각했거덩요. 그런데 중간에 그만 폭 여자가 밑으로 꺼쟀애요. 남자가 가까이 가지두 못허구 물러서두 못허구 발광을 했애요. 그런데 강둑에 서 있던 사람들이 그걸 보구 웃앴애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