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14의 게시물 표시

가늠할 수 없는 세상에 던지는 질문

리미니 프로토콜 [100% 광주] 2014년 4월 19일~20일 광주문화예술회관 동시대성에 대한 갈망은 동시대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증한다. 광주라는, 한국 현대사의 질곡을 겪어낸 ‘지역의 정체성’은 ‘지역감정’과 같은 혼란의 말로 분탕질 놓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되새겨야 할 의미와 가치를 혼란의 영역으로 끄집어 내리는 수많은 언어와 사건들이 득세할수록 다시 한 번 그 정체성을 확인하고 싶은 열망도 따라 커졌는지 모른다.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에 대한 뜨거운 관심은 이와 같은 갈망과 혼란이 담겨있다. 광주를 대표하는 100인의 시민이 무대에 오른다. 성별, 국적, 주소, 나이의 분포도에 따라 구성된 이들은 “우리는 광주를 대표합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광주를 대표하는 이들이 무대에 오르고 또 다른 광주 시민이 관객이 되어, 결과적으로 우리가 우리를 바라보는 형상이 된다.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는 이와 같이 같은 처지의 우리를 무대와 객석에 자리 잡게 해서 서로를 바라보게 한다. 그리고 질문을 던진다. 그 질문은 개인의 사소한 취향으로부터 시작해 광주에 대한 묵직한 문제를 거쳐 우리네 인생에 대한 사색으로까지 이어진다. 관습적으로 존재하는 제4의 벽(무대와 객석 사이에 있는 가상의 벽)을 깨는 것이 또 다른 공연 형태로 자리잡은지 오래지만,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는 조금 색다르다. 보통 배우와 관객의 소통은 어느 한 쪽, 특히 배우가 관객에게 질문을 던짐으로써 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는 우리 스스로가 선택한 질문을 무대에 있는 우리가 답하고 그것을 객석에 있는 또 다른 우리가 지켜본다. 그런데 대부분의 질문들은 과거의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에 관한 것들이다. 가령, 5.18 민주화운동은 과거의 지난 일로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광주 민주화 항쟁을 넘어서 더 나은 미래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는 식으로 지금의 문제로 재조명된다. “나는 120년 안에 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