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의 게시물 표시

시간을 견뎌내기 위해서

소극장 산울림 개관 30주년 특별기념공연 [고도를 기다리며]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가 한국에서 고도를 기다린 지 반세기가 흘러가고 있다. 산울림 소극장 개관 기념공연으로 시작한 지 30년, 초연으로 부터는 45년의 시간이 흘렀다. 피터 브룩Peter Brook(1925~ )은 자신의 저작인 [빈공간]에서 ‘하나의 공연이 지속될 수 있는 최대 기간은 오 년 정도’라고 밝히며 ‘시간이 흐르면 이내 낡아 보이는 것이 머리 모양, 의상, 화장법 뿐만은 아니다. 몸짓, 손짓, 말투와 같이 인물의 마음 상태와 정서를 전달하는 행위 양식을 비롯하여 공연에 필요한 그 밖의 다른 모든 요소들이 보이지 않는 주식 시장에서 늘 변동하고 있다. 삶은 끊임없이 유동하며 배우들과 관객들은 이에 영향을 받는다.’라고 그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즉, 하나의 공연이 끊임없이 변하는 세상과 교감하며 창조의 활력을 잃지 않는 시간을 오 년 정도로 보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십년이면 강산도 변화시키는 시간의 풍화작용을 산울림의 [고도를 기다리며]는 어떻게 견뎌내고 있는 것일까? 45년 동안 쉼 없이 공연된 것은 아니지만, 공연이 다시 시작될 때마다 수많은 관객이 찾아와 객석을 채우고 호응을 보내는 것을 보면 공연의 생명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듯 하다. 포스터의 <45년의 명무대, 13인 명배우 총 출연>의 문구에는 시간을 이겨낸 자부심과 지난 시간을 회고하며 자축하는 의미가 함빡 담겨있다. 해가 뜨면 두 사람, 즉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는 고도를 기다린다. 기다림은 반복되어 다음날에도 계속된다. 날이 밝으면 다시 고도를 기다리고, 고도를 기다리고 있는 동안 다시 해가 진다. 같은 구조의 1막과 2막을 통해서 고도를 기다리는 일은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 두 사람이 살아있는한 계속될 일임을, 그들의 운명 같은 질곡임을 암시한다. ‘도대체 고도가 누구야?’라는 탄성어린 질문에는 고도를 기다리며 정처 없이 시간을 보내는 두 사람에 대한 안타까움과 답답함이 뒤섞여있다. 작가...

[시간의 난극] 리뷰 모음

[시간의 난극] 2015년 4월 2일 - 12일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http://blog.naver.com/takueye/220326304904 http://blog.naver.com/sun2y/220326212304 http://smisdiary.tistory.com/63 http://blog.naver.com/sun2y/220321895119 http://news1.kr/articles/?2168464 http://blog.naver.com/kokowawaee?Redirect=Log&logNo=220319260737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heaterM&no=1251490 http://blog.naver.com/jegojego88/220333422775 http://ticket.interpark.com/Ticket/Goods/GoodsInfo.asp?GoodsCode=15002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