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우산을 씌어준 사람들

너가 이렇게 연출을 못할 줄 몰랐다고 하시며 3만 원을 주셨다. 장소는 진미식당이었고 앞에 계신 분은 윤영선 선생님이었다. 당근인지 채찍인지 모를 돈을 주머니에 넣고 학교로 돌아오는 길, 그래도 고생은 했다고 주시는 돈인지, 그까짓 것 빨리 해치우고 술이나 마시라는 소린지 다시 생각해 봤지만 가늠하기 어려웠다. 뭔가 막막하고 싸늘한, 다시 회상할 때면 그때 그 기분을 초겨울의 날씨라고 표현했다. 어쩔 수 없는데, 그냥 쓸쓸하고, 그냥 복종할 수밖에 없는 한계 같은 벽이 느껴졌다. 그리고 그다음 연출도 잘했을 리가 없고, 선생님은 1년 동안 인사를 받지 않았다. 무슨 선생이, 옹졸하게 인사도 받지 않나 싶었는데 돌아가신 날 많이 서럽고 슬픔이 북받쳤다. 연극원의 시간을 통과하면서, 말이 조금 줄었고 책을 읽는 시간이나 영화를 보는 시간 역시 조금은 줄어든 것 같다. 그냥 가만히 있는 시간이 늘어났다. 중, 고등학교 때 농구에 빠져 있었는데 가까운 곳에 활자로 정리된 농구 교본을 두었다. 성인이 되어 수영에 빠져 있을 때도 프린트된 수영 교본을 들고 다니곤 했다. 하지만 이젠 안다. 세상에 이론이란 없다는 것을, 모든 것은 몸의 마찰을 통한 실행의 결과였다는 것을. 누군가가 이론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 역시 글쓰기의 노동이 들어간, 사고의 실행이라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어떤 계기 없이, 어느 순간. 연극원의 시간을 통과하면서 알게 된 것이다.   입시 면접 때 선생님이 이름을 불러준 것이 기억난다. 중, 고등학교. 대학교에 다니면서 내 이름을 불러주는 선생님이 그리 많지 않았던 거 같다. 사실,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연극원을 다니고 싶다는 강렬한 열망이 생긴 건 면접 날이었다. 서울 상경 첫날, 그러니까 서울에서 첫잠을 자고 일어난 날 나에게 벌어진 청천벽력 같은 일은, 저녁에 묶어둔 자전거가 없어진 것이었다. 눈뜨고 코베인다는 것이 이런 것인가, 실제로 베인 것 같이 싹둑 잘린 자물쇠만 덩그러니 전봇대에 남아있었다. 복도에서 선생님을 만났는데, 자전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