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매는 몸
1. 새벽에 닭들이 울면 아버지가 나를 깨웠다. 아버지는 누런 포대를 하나 들고 나섰고 나는 그 뒤를 따랐다. 시장이긴 하지만, 주택과 상점이 섞여 있는 단촐한 길이었고 그곳을 걸으며, 야채가게 주변에 떨어진 배추 잎이나 열무 줄기 등을 주워서 포대에 담았다. 장사 시작 전 물건을 정돈하는 시간이라 시들어 떨궈낸 잎과 줄기 등이 많았다. 금방 포대가 찼는데 그것을 다시 집에 들고 와서 듬성듬성 썰어 사료와 함께 닭들에게 주었다. 닭들을 키웠던 마당은 황토였는데 마당의 반을 고추를 심었어도 자동차 서너대가 들어올 수 있는 만큼 넓었다. 비가 오면 닭장 처마를 우산 삼아 피해있는 참새를 잡기 위해 어머니가 막대에 걸쳐 바구니를 세워놓았다. 막대에 긴 끈을 늘어뜨려 참새가 바구니 안에 들어오면 끈을 당겼다. 냉장고 문을 열면 참새가 반듯하게 누워있었다. 나는 어쩌면 그 시간으로, 그 곳으로 돌아가기 위해 지금을 보내는지 모르겠다. 꿈꾸는 미래가 어쩌면 과거. 마루에 앉아 비 내리는 것을 보고, 심은 옥수수가 하루가 달리 쑥쑥 크는 것을 보고 싶다. 사건은 없지만 충만한 그런 시간을 보내고 싶다. 용현 사거리의 물텀벙 거리를 지나, 신화탕을 끼고 걷다 보면 그 집이 나오겠지. 그대로 있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여기쯤이라고 짐작할 수 있는 터가 있겠지, 싶었다. 황토길은 없어졌더라도 아침마다 닭장문을 열고, 해질녘 닭들이 돌아오면 닭장문을 닫던 그 일상을 추억할 수 있겠지 싶었다. 그런데 웬걸, 이쯤일까 헛갈릴 정도가 아니라 아예 통째로 사라지고 없었다. 어디서 어디까지 사라졌는지 모를 정도로 어떤 경계없이 그냥 쑥, 없어져 버렸다. 야채를 줍던 시장은 물론, 교회, 동사무소 모두 흔적은 커녕 가까이 다가갈 수도 없었다. 재개발이야 뭐, 흔할 일인데 내가 살던 곳이 통째로 사라진 것을 보니 이거 정말 대단한 일이구나, 싶었다. 댐이 생기고 마을이 사라졌다는, 어디가에서 들은 향수같은 아득함은 그저 낭만이었구나. 당혹스러움을 지나 누군가가 나를 헤집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