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위의 시간
<틴에이지 딕> 공연을 마치고, 마침 코로나에 걸렸다. 공연을 마치고 바로 일들이 있었는데, 덕분인지 때문인지 코로나로 일정들이 싹 지워졌다. 그리고 근 한 달을 어슬렁거렸다. 코로나 후유증인지 그냥 체력이 고만고만하게 맞춤이 되었는지 하루에 하나의 일정만 하면, 그만 집에 들어와야 목이 아프지 않다. 오전에 일정이 있고 저녁에 일정이 있으면 그사이 집에 들어와 잠을 잔다. 자연스럽게, 먼지 날리듯 푸석거리며 살던 삶이 조금 잠잠해졌다. 잠이 안 올 때까지 자기도 하고, 메모장에 남겨둔 아주 작은 일, 이를테면, 제본하기, 전화하기 등등의 일까지 다 하고도, 멍하게 책상에 앉아 있을 수 있는 시간이 생겼다. 그런 시간이 이어지고 이어지자. 사고 싶은 책을 사고, 빈말로 지나친, 한번 보자, 했던 사람이 누구였지 되새겨보며. 아, 난 이런 사람이구나. 발견한다. 집에 있는 것이 가장 좋고, 혼자 있어도 심심함을 모르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보고 싶은 사람이 있고, 만나지 못해 빈말이 되었지만, 인사말을 남기는 순간은 그래도 진심이었구나, 싶다. 대본 말고 책을 읽을 수가 없구나, 집중이 안 되는구나 싶었는데 읽히는 책들이 있다. <마이너리티 디자인> 소정 배우님이 연습 때 거론한 책이었는데 궁금했다. 우선 소정 배우님의 단단함이, 그 궁금함이 책으로 이어졌다. 책 제목이 궁금해서 배우님께 여쭤봤는데 아예 책을 보내주셨다. <인생의 역사> 좋은 글은 좋은 문장에서 시작되고, 문장과 단어와 글이 어떤 하나임을, 그 힘이 느껴지는 사람. 신형철이다. 전체와 부분이, 구조와 내용이 하나로 굳어져 있어 틈이 없다. <위대한 식재료> 이영미 선생님이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다. 그냥 마냥 좋고 경외심을 갖고 있는 분이다. 걸어간 만큼 흔적을 말씀하시는 분이기에 어떤 글이라도 그냥 좋다. 그런데 웬 걸, 식재료라니. 동명이인이지 싶었다. 그런데 이영미 선생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