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위의 시간


<틴에이지 딕> 공연을 마치고, 마침 코로나에 걸렸다. 공연을 마치고 바로 일들이 있었는데, 덕분인지 때문인지 코로나로 일정들이 싹 지워졌다. 그리고 근 한 달을 어슬렁거렸다. 코로나 후유증인지 그냥 체력이 고만고만하게 맞춤이 되었는지 하루에 하나의 일정만 하면, 그만 집에 들어와야 목이 아프지 않다. 오전에 일정이 있고 저녁에 일정이 있으면 그사이 집에 들어와 잠을 잔다. 

자연스럽게, 먼지 날리듯 푸석거리며 살던 삶이 조금 잠잠해졌다. 잠이 안 올 때까지 자기도 하고, 메모장에 남겨둔 아주 작은 일, 이를테면, 제본하기, 전화하기 등등의 일까지 다 하고도, 멍하게 책상에 앉아 있을 수 있는 시간이 생겼다. 

그런 시간이 이어지고 이어지자. 사고 싶은 책을 사고, 빈말로 지나친, 한번 보자, 했던 사람이 누구였지 되새겨보며. 아, 난 이런 사람이구나. 발견한다. 집에 있는 것이 가장 좋고, 혼자 있어도 심심함을 모르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보고 싶은 사람이 있고, 만나지 못해 빈말이 되었지만, 인사말을 남기는 순간은 그래도 진심이었구나, 싶다.  

대본 말고 책을 읽을 수가 없구나, 집중이 안 되는구나 싶었는데 읽히는 책들이 있다. 

<마이너리티 디자인>
소정 배우님이 연습 때 거론한 책이었는데 궁금했다. 우선 소정 배우님의 단단함이, 그 궁금함이 책으로 이어졌다. 책 제목이 궁금해서 배우님께 여쭤봤는데 아예 책을 보내주셨다. 

<인생의 역사>
좋은 글은 좋은 문장에서 시작되고, 문장과 단어와 글이 어떤 하나임을, 그 힘이 느껴지는 사람. 신형철이다. 전체와 부분이, 구조와 내용이 하나로 굳어져 있어 틈이 없다. 

<위대한 식재료>
이영미 선생님이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다. 그냥 마냥 좋고 경외심을 갖고 있는 분이다. 걸어간 만큼 흔적을 말씀하시는 분이기에 어떤 글이라도 그냥 좋다. 그런데 웬 걸, 식재료라니. 동명이인이지 싶었다. 그런데 이영미 선생님의 책이다. 이미 출판된 지도 좀 됐다. 쓰윽 보고 설렜다. 첫 챕터를 읽고 토판염을 사봐야지 싶었다. 송명섭 막걸리도 다루신다. 걷고 걸어 길러낸 식재료와 문장이다. 거론된 재료들을 만나볼 참이다. 

<리얼리티 재장전>
읽지 않았지만, 읽을 책이지만. 좋은 책이고 영감과 새로운 인식을 줄 것이다. 강경석이 그렇기 때문이다. 넉살과 삶의 고단함을 아는 이이기에 잠시 위로가 되고 새로운 인식을 줄 것이다. 

<사랑 예찬>
연재 작가와 내년에 같이 읽을 책이다. 언젠가 연재 작가 동료들과 시간을 보낸 적이 있었는데 바디우, 바디우 하길래 도통 모르는 말이어서 미소만 지었는데, 그냥 흘려들어도 뭔가 호기심이 갔다. 연재 작가랑 뭔가를 같이 하는 거리를 찾아서 좋기도 하다.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고주영 피디님의 인스타 스토리를 팔로우 하며 무슨 책을 보시나, 기웃거리는데. 그때마다 호기심이 가는 문장이 보이면 책 제목을 여쭤본다. 요즘은 책 제목도 같이 올리셔서 좋은 정보를 날로 얻는다. 그 중 하나의 책. 문장을 따라가는 길 마다 새로운 인식이고 성찰이다. 

<돈키호테>
내년 공연을 제안받으면서, 머리 긁으면서 앉았다가 작품이 돈키혼테라고 해서 바로 하고 싶다고 했다. 책도 사고 들떠있던 참에 수장이 바뀌어 아마도, 지워질 작품이다. 요즘 단체장이 바뀌어 저 뿌리 밑까지 휙휙 바뀌는 것을 본다. 담담하면서도 여러 질문들이 생긴다. 조직 원리가 가장 큰 이유가 될 수도 있지만 아무 이유가 될 수 없음을 같이 느낀다. 

요즘 저녁 연습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내년에도 이런 시간을 보내고 싶다. 빨리 가기 위해 천천히 가는 연습을 해야겠다. 


댓글

  1. 천천히 가는 연습을 응원합니다. 같이 할 거리를 더 많이 발견해나가요. 사랑해!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놀이라는 일종의 전통

삶의 완성

가질 수 없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