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성과 실험이라는 가치를 벗어나 소통하기
주머니 속에 개인 미디어를 지닌 시대, 극장을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 같이 모일 수 없었던 코로나의 시간을 통과하며 관극 형태는 어떤 변화를 맞이할까. 지역과 계층 등 여러 경계 속에서 극장은 어떤 질문을 할 수 있나. 출발점은 다르지만 극장에 관한 질문은 다양한 방향으로 뻗어나간다. 극장이 무언가를 공연하기 위한 시설일 뿐만 아니라, 동시대의 여러 질문과 가치를 소통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생각은 이미 여러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 터라 낯선 것은 아니다. 삼일로창고극장(이하 삼일로) 역시 극장을 매개로 살아가는 다양한 주체들의 시각으로 불필요한 극장을 상상하고 극장을 향해 질문을 던지거나(불필요한 극장이 되는 법) 가성비의 개념을 공연과 연결시켜, 1인 창작자들에 대한 조명과 지원을 시도한다거나(퍼포먼스 포 프라이스 : 클린룸) 삼일로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질문에 대해 예술인들이 다양하게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시도를 해보는 작업(리서치 프로젝트: 극장활용법) 등을 통해 동시대 극장에 관한 고민과 질문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삼일로의 올해 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19% 삭감되었다. 사업비로만 보면 약 60% 삭감된 금액이다. 서울시 예산 부서에서 판단하기에 삼일로의 운영목적에 맞지 않는다고 보이는 사업예산들을 삭감하였는데, 일부 사업들이 직접적으로 창작 관련 프로젝트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구체적으로 창고개방이나 네트워킹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창고개방의 경우 축제형 프로그램이라 창작 프로젝트와 거리가 있다고 보았으며, 재정사업평가 외부 전문가 주요 개선 의견으로는 사업 대상인 청년예술인을 고려한 성과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우리는 대화할 수 있을까 동시대 창작 플랫폼을 지향하며 다양한 예술적 실험을 지지하는 개방형 공공극장을 표방하는 삼일로의 사업 대상을 청년예술인으로 한정 지은 것도 생소하지만 축제형 프로그램이라 창작 프로젝트와 거리가 있다고 여긴 것 역시 생소하긴 마찬가지다. 문화예술계에 청년 지원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