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의 게시물 표시

아폴로니아

노래에 자리 잡은 비명 [2012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개막작 ‘(아)폴로니아’] 문을 열고 들어가 입구와 방향이 다른 출구로 나오는 것. 그래서 처음과는 다른 상황을 맞이하는 것은 이야기의 중요한 속성 중 하나이다. 흥부는 박 속에서 금은보화가 터져 나오기 전 뺨에 붙은 밥풀을 떼어먹어야 했으며 오이디푸스는 자기의 눈을 스스로 찌르기 전 태평성대를 누렸다. 이야기는 이렇듯 상황의 변화를 통해 말을 건다.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 것일까? 여기 비명으로 시작해 노래로 끝나는 한 편의 공연이 있다. ‘(아)폴로니아’ 는 침묵으로 시작하지만 그 침묵은 비극을 숨긴 침묵이며 얼마 후 그 침묵의 문을 열고 들어가면 온갖 비명이 쏟아진다. 울부짖음과 같은 말, 몸부림이 계속된다. 하지만 비명이 잦아들고 그 반대편 문을 열고나올 때는 노래가 흐른다. 네 시간 공연의 시작과 끝은 그러하다. 비슷한 듯 다르게 자리 잡고 있는, 비명과 노래. 공연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징검다리를 건너야 한다. 3명의 여인-이피게니아, 알세스티스, 아폴로니아-이 바로 그 징검다리이다. 그리스 비극과 현대소설의 극중 인물인 이들은 공연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이피게니아는 트로이 전쟁의 그리스군 총사령관인 아버지 아가멤논에 의해 신들에게 제물로 바쳐진 인물이며, 알세스티스 역시 가족을 지키기 위해 남편 아드메토스 대신 제물로 바쳐진다. 아폴로니아는 나치 치하 폴란드에서 유대인 24명을 돌봐준 죄로 처형된 폴란드 여인이다. 희생의 제물로 바쳐진 세 여인의 이야기는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서로 관련이 없는 듯 떨어져있다. 에피소드 형식으로 마치 징검다리처럼 떨어져 놓여있는 것이다. 떨어져 있는 세 여인의 이야기를 잇는 것은 음울한 정서인데 이 음울한 정서는 세 여인의 죽음을 바라보는 주변인물의 불안과 긴장을 통해 조성된다. 공연 중간 중간에 등장인물의 모습이 실시간 영상으로 무대 뒷면에 투사되는데 영상은 공연 전반의 음울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출은 그 음...

작업실

이미지
어제 작업실이랑 처음으로 잤다. 서울에서 연습을 마치고 인천을 내려오면 아주 잠깐밖에 머물 수 없는 '지하철 레지던시'지만 심호흡하듯 찾게된다. 그동안의 공연포스터도 붙여놓고 라꾸라꾸도 장만하여 놓으니 맘이 조금 편해진다.   며칠전 박솔뫼 작가가 잠시 들렀다. 청솔모라고 놀리던 때가 무색하게 어엿한 작가님이 되어 책 몇권을 쥐어주고 갔다. 어엿한 작품만이 삶의 허무를 메꾸는 듯 하다. 

Kathe Kollwitz

이미지
가슴으로 빚은 작품들을 보면서 숙연해졌다. 사람의 눈을 가지려면 현상의 이면, 본질을 볼 수 있는 투시력과 통증에 전염될 수 있는 예민함이 필요한 거 같다. 작품에 꾹꾹 눌려 담겨있는 그녀의 통증에 아찔했다. 빙산의 일각. 그녀 작품 속에 숨겨져 있는 이 거대함은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