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라는 일종의 전통
전통예술이 하나의 장르인가, 질문을 가진 적이 있다. 탈춤 관련 지원서를 쓸 때 탈춤의 장르를 무용으로 기입해야할지 연희로 기입해야할지 헛갈렸다는, 평생 탈춤꾼들로 삶을 살아온 동료의 사연을 들으며 나 역시 해보지 않은 질문을 하게 되었다. 탈춤의 장르를 고민하다 그럼 전통예술은 장르인가, 라는 질문으로 나아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연극, 영화, 음악, 무용... 등등의 단어 뒤에 전통예술이 함께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장르라는 것이 예술의 표현 양식을 구분하는 말이라면 전통예술은 그 안에 이미 음악, 무용, 연희 등 여러 장르가 있으니 다른 특수성이 전통예술을 하나의 묶음으로 구분 짓고 있을 것이다. 그 특수성이 무엇인지는 단숨에 설명할 수 없지만, 전통예술이 하나의 장르라고 규정할 만큼 우리의 의식 속에 어떤 공통된 감각, 형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아닌가 질문하게 된다. 어쩌면 이것은 ‘전통예술은 이런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전통예술의 일부를 전체로 단정 짓는 편견일 수 있을 것이다. 편견과 해석은 전통예술과 같이 시간의 풍화작용을 견뎌낸 산물 앞에서 지금의 시간을 맞이하기 위해 겪어야 할 어떤 진동 같은 것이다. 해석일 수 있고 편견일 수 있는 경험을 공유하면 <오셀로와 이아고>를 준비하며 여러 전통예술 작업을 접하던 중에 무대의 기본 색이 늘 황토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뭐, 대단할 것이 없는 발견이지만 경험이 양으로 쌓이다 보니 인식으로 질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황토색은 다소 과거가 아닌 동시대의 상황을 다루거나 자연 공간이 아닌 곳에서도 적용되었다. 황토색의 무대를 벗어난다고 해도 나풀거리는 자연 소재의 의상이 기울어진 추를 바로 잡아 주었다. 미술 디자이너님들과 모여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블랙홀처럼 빨려 들어가는 어떤 이미지가 있었으며 그것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았다. 이것은 미술뿐만 아니라 전통예술과 만나는 공연 요소 곳곳에서 생겨나는데 그것을 판단하는 근거는 어떤 무형의 느낌, 이미지였다.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