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의 게시물 표시

정서진별곡

이미지

[숫호구] 백승기 감독 인터뷰

영화는 자칭 C급, 태도는 A급  - 백승기 1. 영화감독을 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어렸을 때 하고 싶은 것이 많았다. 영화도 하고 싶었고 배우도 하고 싶었고 댄스 가수도 하고 싶었다. 미술도 하고 싶었고 교직에 대학 생각도 있었다. 다양한 것을 하고 싶었는데 결국 나를 표현하는 것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 어릴 때는 인터넷도 없던 시대라 막연하고, 꿈을 이루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 영화감독이나 배우나 가수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고 신기했다. 그래서 빨리 뭔가를 하고 싶었다. 연극부 활동을 하다가 예술 고등학교가 생긴다는 소문이 있어 미술학원을 다니며 3개월 준비를 해서 예술 고등학교를 입학하게 되고 그 이후에 미대를 가게 되었다. 그림을 그리는 것이 재미는 있었지만 보여주는 창구가 제한되어 있어 늘 갈증을 느꼈다. 전시회를 하면 아는 사람이나 가족만이 온다. 그러다 군대를 갔는데, 하필 전투경찰로 배치가 되었다. 정말 원치 않은 곳에 배치가 되었고 그렇게 부당한 구타, 가혹행위를 당해본 적이 없다. 말도 안 되는 비상식적인 상황을 겪으면서 더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느꼈고 사회 구조 안에서 개인이 얼마나 보잘 것 없는 것인지 깨닫게 되었다.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 다하고 가치 있게 살고 싶었다. 제대하고 사람들이 많이 보고 내가 가장 재밌게 할 수 있는 일이 영화라고 생각했다. 큰 계기가 된 것은 친구들과 엠티를 갔는데 뭐하고 놀까 하다가 빌려간 디지털 카메라로 영화나 찍으면서 놀자, 한 것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었다. 집에 와서 처음 만들어 편집한 영화를 보는데 뭔가 느낌이 확 왔다. 왜 나는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틀 안에서 뭔가 하려 했을까? 난 이 순간부터 영화감독이다라고 생각 했다. 내 주변 사람들이 배우가 되고 내 주변 장소가 촬영 장소가 되고, 친구들과 모여서 ‘꾸러기 스튜디오’라는 영화사를 만들었다. 2. 그 이후 겪은 일을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겠어요? 우리 영화를 어떻게 사람들이 보게 할 것인가 고민하다가 인지도 높은 영...
낮의 조급성은 텅 빈 형식이 되어 밤을 지배한다. - 한병철, [시간의 향기] 중 - [피로사회]이후 책을 사놓고 내버려두었다가 펼쳤는데, 문장 하나하나가 와 닿는다. 몸이 아릴정도로 아찔하다.

[도래순과 수지] 중, 꽉 차 있어요

이미지

가늠할 수 없는 세상에 던지는 질문

리미니 프로토콜 [100% 광주] 2014년 4월 19일~20일 광주문화예술회관 동시대성에 대한 갈망은 동시대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증한다. 광주라는, 한국 현대사의 질곡을 겪어낸 ‘지역의 정체성’은 ‘지역감정’과 같은 혼란의 말로 분탕질 놓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되새겨야 할 의미와 가치를 혼란의 영역으로 끄집어 내리는 수많은 언어와 사건들이 득세할수록 다시 한 번 그 정체성을 확인하고 싶은 열망도 따라 커졌는지 모른다.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에 대한 뜨거운 관심은 이와 같은 갈망과 혼란이 담겨있다. 광주를 대표하는 100인의 시민이 무대에 오른다. 성별, 국적, 주소, 나이의 분포도에 따라 구성된 이들은 “우리는 광주를 대표합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광주를 대표하는 이들이 무대에 오르고 또 다른 광주 시민이 관객이 되어, 결과적으로 우리가 우리를 바라보는 형상이 된다.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는 이와 같이 같은 처지의 우리를 무대와 객석에 자리 잡게 해서 서로를 바라보게 한다. 그리고 질문을 던진다. 그 질문은 개인의 사소한 취향으로부터 시작해 광주에 대한 묵직한 문제를 거쳐 우리네 인생에 대한 사색으로까지 이어진다. 관습적으로 존재하는 제4의 벽(무대와 객석 사이에 있는 가상의 벽)을 깨는 것이 또 다른 공연 형태로 자리잡은지 오래지만,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는 조금 색다르다. 보통 배우와 관객의 소통은 어느 한 쪽, 특히 배우가 관객에게 질문을 던짐으로써 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리미니 프로토콜의 [100% 광주]는 우리 스스로가 선택한 질문을 무대에 있는 우리가 답하고 그것을 객석에 있는 또 다른 우리가 지켜본다. 그런데 대부분의 질문들은 과거의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에 관한 것들이다. 가령, 5.18 민주화운동은 과거의 지난 일로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광주 민주화 항쟁을 넘어서 더 나은 미래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는 식으로 지금의 문제로 재조명된다. “나는 120년 안에 죽습니다”...

1953년 환도열차, 종착역은 2014년 서울입니다

PREVIEW SAC CUBE 2014 연극_ 환도열차 3.14(금)-4.6(일) 자유소극장 환도열차는 거친 숨을 몰아쉬듯 허연 증기를 토해낸다.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으로 갈무리되자 부산으로 피난갔던 사람들은 다시 서울로 돌아가는 이른바 환도열차에 몸을 싣는다. 그런데 1953년 부산에서 출발한 열차는 난데없이 2014년 서울에 나타난다. 정든 사람들과 이별해야 하는 안타까움과 서울로 향하는 기대 등으로 가득 찼을 환도열차는 더 이상 사람의 숨결을 느낄 수 없다. 단 한 명, 남편을 찾아 서울을 찾은 지순만을 남겨둔 채. 그녀에게 시간을 뛰어넘은 서울은 어떤 곳일까? 2014년 서울에서 거친 숨을 몰아쉬는 건 환도열차만이 아니다. 2013년 <여기가 집이다>로 대한민국 연극대상 대상과 희곡상을 수상하고, ‘한국연극 선정 올해 공연 베스트 7’로 선정된 이야기꾼 장우재(작·연출)는 우리를 또 다른 세계로 안내한다. 그의 상상력은 시간을 훌쩍 뛰어넘은 열차를 만들어내지만 그의 시선은 차분히 서울 곳곳을 훑는다. 그 역시 몸의 실핏줄 같은 서울의 뒷골목을 오갔을 것이고 서울 귀퉁이 선술집에서 잔을 기울이며 삶의 회포를 풀었을 터인데, 그가 바라보는 서울은 낯설다. 그 낯섦은 2014년 서울을 바라보는 지순의 시선과 닿아 있다.  여기가… 서울이에요? 지순은 숨을 돌리고 차분하게 주변을 살핀다. 죽 끓이며 살 부대끼며 살던 부산, 남편과 결혼식을 올렸던 서울의 모습은 이제 더 이상 그녀가 알던 곳이 아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90세가 된 남편 한상해는 그녀가 알던 사람이 아니다. 무엇이 이렇게 변하게 한 것일까? 지순은 직접 그 실체를 확인하려고 한다. “추운 날. 아주 추운 날. 사당패 부부가 언 강을 건냈에요. 강이 얼어서 건널만 허겠다 그렇게 생각했거덩요. 그런데 중간에 그만 폭 여자가 밑으로 꺼쟀애요. 남자가 가까이 가지두 못허구 물러서두 못허구 발광을 했애요. 그런데 강둑에 서 있던 사람들이 그걸 보구 웃앴애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