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
어깨 폭만한 선반에 서서 각자 준비한 식기로 한 끼를 해결하는 모습이 이상하게 좋았다. 등산을 좋아하지 않지만 가끔 지리산을 찾는 이유이다. 각자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짐을 지고 올라와 소꿉놀이하듯 끼니를 해결하는 모습이 왠지 경건하게 느껴졌다. 최근에는 다리를 다쳐 하룻밤 만에 내려왔지만 등반을 포기한 채 먹는 식사도 나름 괜찮았다. 일종의 반성 같은 시간. 그는 나에게 샤이보이라고 했다. 샤이도 좋고 보이도 좋으니 샤이 보이는 더 좋다고 생각했다. 아마 영어에 자신이 없어 눈을 피하는 나를 은근히 놀리기도 하고, 그래도 괜찮다는 친근함의 표시이기도 했다. 같이 있는 동안 나의 영어 실력이 늘고 그의 한국어 실력이 늘었다. 서로가 조금씩 익숙해질 무렵 그의 가방이 궁금했다. 일주일 넘게 타국에 머물기 위해 가지고 온 짐은 15리터 정도의 작은 가방이 전부였다. 그나마 노트북과 책을 빼면 더더욱 단출했다. 미국인이지만 정작 미국에 머무는 시간은 1년에 2주 정도라고 했다. 나머지의 시간은 이곳저곳을 떠도는데, 그 삶의 방식이 담겨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불필요한 것이 없는, 여행자의 가방. 정착하고 싶어도 강제로 걸음을 떼게 하는 것이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 언젠가 처음 보는 얼굴이 다짜고짜 나를 막아섰다. 두서없이 자신의 디자인을 내보이며 고민을 털어놓는데, 그때 알았다. 열정과 접속하는 것이 행복이구나, 관계를 맺는 것이 삶의 의미이구나. ‘삶은 네트워크’라고 메모를 해두었다. 이리도 기쁘고 슬픈 이유는 스치는 것들 때문이라는 것을 조금 안 것 같다. 지금은 그 친구의 얼굴이 기억나지 않는다. 가난한 자의 삶은 무용담의 연속이다. 아버지는 배다리를 지날 때마다 이곳은 바다였다고, 추억을 이야기하며 격앙되었다. 배다리가 바다였을 때의 기억이 아버지의 기억인지 아버지의 아버지 기억인지 알지 못한다. 아버지는 택시 기사였고, 아버지의 아버지는 트럭을 운전했다. 추억이라기 보다는 어떤 삶의 쟁투. 연극을 이야기할 때 격앙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