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세술
잘 안 될 것이다.
공연을 앞두고 같이 화이팅을 외치고 돌아서서
내가 생각한 의도는 관객에게 닿지 않을 것이다, 읊조린다.
심술을 덜 부리기 위해서.
아주 잠시,
권력의 표현 방식을 따라본다.
말 끝을 흐리거나
이를테면, 대충 의미가 몸과 어조로 전달되었을 즈음
동사를 뱉지 않고 얼버무리거나
나에게 유리한 제스처로
의사 표현을 한다거나
그래서 결국 처참해진다.
닿을 수 없는 것에 닿았다 떨어지는.
바쁜데 비참해지기까지 한다.
경계에 피는 꽃,
웃음.
꺾이지 않는 웃음에 대해 생각한다.
웃음에 담긴 빈부의 차이.
이를테면
여유와 넉살.
여유는 태어난 것이고
넉살은 길러진 것이다.
내 웃음은 어느 경계에 있을까.
‘나이가 들수록’ 등의 표현은 잘 쓰지 않지만.
맘 속에 담을 때가 있다.
나이가 들수록
돈의 꼬리는 참으로 길게 세세히 뻗쳐 있다.
그리고,
돈은 최고 단계의 인문학이다.
그리고,
어쩔 수 없는 것이 너무나 많다.
커피를 마시는 것은
정신을 깨우기 위해서가 아니다.
야식을 먹는 것은
배가 고파서가 아니다.
책을 한 권 가방에 넣는 것은
읽을 시간이 있어서가 아니다.
그냥, 적적해서다.
기절하듯 잠에 들고
기겁하듯 잠에서 깰 때.
도저히 이렇게 살 수는 없겠다, 싶을 때.
어딘가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했다.
고통도 감사해야 한다는 것을.
세상의 고통이 상향 평준화되어
아직 이 생각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겸손은 사람에 대한
태도가 아니라
아침, 책상 위
A4용지 위에 놓인 활자와 인물에 대한 태도이다.
그러하기에
너무나 건방지다.
작업을 하며 동료와 이야기를 나눌 때
‘정상’이라는 말을 담지 않는다.
굳이 써야 한다면
‘일반적’ 혹은 ‘대다수’라는 말을 쓴다.
‘해결’이라는 말 역시 조심해서 쓴다.
늘,
해결보다 해결을 위한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힘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기에.
해결 방안 못지 않게
우리는 괜찮은가, 살피게 된다.
그리고 계속.
@1docci, 𝗥𝗲𝗮𝗱𝗶𝗻𝗴ㅣ기획연재 2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