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
지갑도 잃어버렸다.
조금 부끄러워하고 말 일이
아까운 날이 되어 버렸다.
아끼던 지갑이었고,
잘 갖고 다니지 않던 현금도 마침 들어 있었다.
신분증이 있어 다시 돌아오나 싶었지만
지갑을 찾을 수 없었고
그 이후로 지갑을 갖고 다니지 않는다.
육회 전문점에서
이 얘기를 꺼냈다.
남들 앞에서 낭독을 하는데 윤회를 육회로 잘못 말했다고,
마침 시간이 남아 가까운 벤치에 앉아 아까 한 실수를 웃으며 나누다가
지갑을 놓고 다음 행선지로 갔다고.
그래서 지금까지 지갑을 갖고 다니지 않는다고.
그 덕인지, 그 이유 때문인지
친구가 육회값을 냈다.
대부분의 조언은 실은
벼랑 끝, 나를 위해 찾은 말들이었다.
빠르게 가기 위해 천천히 가라고 하거나
언덕은 넘기만 하면 되니 그 모습에 너무 연연해하지 말라거나.
말하는 나는 담담했고
듣는 이의 초점은 나를 통과하고 있었다.
애초에 남을 위한 말은 불가능했다.
나를 위한 말을
너를 향해 하는 것
이것이 대화라고 자조하고 있을 때
다시 지갑을 샀다.
하노이, 처음 가보는 여행지였고
우리 모두 즐거웠다.
서로가 서로의 지갑을 사줬으며
그 틈에서 나도 하나 얻었다.
내가 샀는지, 누가 사줬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 지갑은
주차를 하고 연습실로 가는 길에 잃어버렸다.
친구가 고민을 털어놓았다.
믿음과 기다림은
동의어라고, 조언했다.
닿을 수 있을까.
굳은살 같은
관성으로 삶이 완성될 수 있을까.
새벽 같은 아침에 눈을 뜨는 이유는
질문을 피해 일찍 잠이 들기 때문이다.
@1docci, 𝗥𝗲𝗮𝗱𝗶𝗻𝗴ㅣ기획연재 3회
댓글
댓글 쓰기